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페이지하단 바로가기

문화행사

울산의 문화행사 소식을 발 빠르게 만날 수 있습니다.

HOME

문화행사

전체

전체

마감 공연

제 2회 울산 예인 심자란 추모제 & 추모 공연

기간
2023-08-19 ~ 2023-08-19
시간
16:00 ~ 17:20
장소
(44543) 울산 중구 종가로 405 (중구 문화의 전당 ), 중구문화의전당
문의전화
010-3858-6505
유/무료
무료
관람등급

초등학생 이상

  • 행사 및 프로그램 소개
  • 오시는길

심자란, 그녀는 열여덟 짧은 생을 살며 예(藝), 효(孝), 절(節), 의(義)를 지키며 살고자 하였으나, 신분제도의 부조리와 권력의 횡포 앞에 자신을 지키기 위해 죽음(餓死)도 두려워 하지 않았던 용기있는 예인이었습니다. 300여 년 동안 잠들어 있던 그녀를 다시 세상에 드러내는 일은 외로운 일이었으나, 그녀의 삶을 안타까워하며 울산의 예인으로 선양하는 일에 함께하고자 하는 분들의 응원과 도움이 있어 두 번째 추모 공연을 올립니다 

- 예술감독 이선숙의 모시는 글 중

 

* 식순

 

1. 서곡 : 심자란의 영정

울산의 국악인과 학생들 100여 명을 대상으로 사진을 취합하여 합성과정과 그래픽 작업을 거치고 그림을 그리는 것으로 자란 영정을 만들었다.

  

2. 헌정곡 : 월금소리

지쳐가는 현대인을 위한 명상곡으로 창작된 월금소리는 비파악기의 화사한 음색과 소박한 소리를 돋보이고자 구성 되었으며, 제2회 울산의 예인 심자란 추모행사를 위해 재편곡하여 비파와 생황연주로 헌곡하고자 하였다. 

 

3. 국악가요 - 상사화

상사화는 꽃이 필 때 잎이 없고, 잎이 자랄 때 꽃이 피지 않아 서로 만날 수 없다 하여 붙여진 꽃의 이름이다. 남녀간의 그리움을 이 꽃에 빗대어 만든 곡으로 한국적인 색채가 돋보이는 발라드 음악이다. 드라마 역적: 백성을 훔친 도적의 OST로 큰 사랑을 받았다 

 

4. 울산 상여소리

 이번 공연 에서의 상여소리는 ‘자란’이 울산에서 태어나 울산에서 생을 마감한 인물이라는 점을 생각하여 영남지역의 메나리조의 선율을 따라 경상도 상여 소리 중에서도 울산의 상여소리를 전통 판소리의 상여 소리와 접목하여 만들어 공연한다 

 

5. 살풀이

살풀이춤은 굿판에서 무당이 나쁜 기운을 풀기 위해 추는 즉흥적인 춤을 말하며, ‘도살풀이춤’ 또는 ‘허튼춤’이라고도 한다. 

 

6. 씻김굿

죽은 사람이 이승에서 풀지 못한 원한을 풀어 주어 극락 으로 가도록 기원하는 굿으로 국가중요 무형문화재 72호로 등록되어 있다. 

 

7. 국악가요 - 사랑가, 흥타령

사랑가: 남녀 간의 애틋한 사랑을 노래한 곡으로 자란과 윤면일의 천 일에 걸친 슬프고도 지고 지순한 사랑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흥타령: 육자배기, 화초사거리 등과 함께 남도 민요의 대표적인 곡으로 남녀간의 상사(相思)를 담은 애절한 가사와 계면조의 절절한 가락이 마음을 울리는 곡이다.

 

8. 헌정작 : 자란가 플래시몹 

2022년 심자란을 기리기 위해 작곡된 ‘자란가’를 울산초등학교 6학년 전원,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 학생들, 북구문화 예술회관 민요반, 울산창포여성합창단 등에게 악보를 전하고, 가르치는 작업을 거쳐 남녀노소 많은 이들이 함께 노래를 부르기 위해 만들어진 영상이다. 

장소명
중구문화의전당
주소
(44543) 울산 중구 종가로 405 (중구 문화의 전당 ), 중구문화의전당
문화공간 문의
052-290-4000
설명
울산중구문화의전당입니다.
이전글
소프라노 김순영 리사이틀
다음글
게시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레이어팝업

레이어팝업 내용


잠시만 기다려주세요.